종보 독서록

문화심리학 : 동양인 서양인 한국인의 마음 [ 양장 ] 한성열,한민,이누미야 요시유키,심경섭 저 | 학지사 | 2015년 03월 30일

종보샘 2019. 9. 1. 09:24
문화심리학 책이 국내에 별로 없다. yes24에서 검색해보니 3권 정도가 문화심리학 책이라 볼 수 있었다. 
 
“문화는 한 사회 내에서 생산되어 공유되는 생활 방식을 비롯한 상징 및 의미 체계를 포괄하며, 학습을 통해 전승되고 인간의 신념, 가치관, 행동을 통제하는 객관적 주관적 환경이라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26쪽
 
심리학은 인간이라는 보편성을 바탕으로 아시아인의 심리, 유럽인의 심리, 미국인의 심리의 편차가 크지 않아 ‘인간’이든 동물이든 유사한 실험을 했을 때 유사한 결과를 얻을 것이라는 실증주의 과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본다.
 
문화 심리학은 같은 심리실험을 하더라도 문화에 따라서 반응하는 것이 달라 편차가 크게 발생하기도 하는 것을 포착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런데 문화라는 것은 집단의 생활방식과 신념, 가치관, 의미체계다. 그 집단이라는 것이 세대에 따라 다르고 지역에 따라 다르며 시기에 따라 달라진다. 이렇게 가변적인 집단을 어떻게 규정하고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국내에 문화심리학 책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문화심리학의 개론서로서 반갑기는 하지만 ‘한’, ‘신명’, ‘유교심리학’ 등이 과연 현재 한국사회, 한국문화를 파악하는 틀로서 적절한가는 의문이다. 
 
저자 서문 
 
제1부 문화심리학의 의해
 
제1장 문화 이해의 필요성 
1. 문화 이해의 필요성 
2. 문화란 무엇인가 
“문화는 한 사회 내에서 생산되어 공유되는 생활 방식을 비롯한 상징 및 의미 체계를 포괄하며, 학습을 통해 전승되고 인간의 신념, 가치관, 행동을 통제하는 객관적 주관적 환경이라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26쪽
문화 진화론과 인종론이 결합한 예
문화 상대주의의 원리는 “판단은 경험에서 비롯되며 경험은 그 사람이 받은 문화화를 바탕으로 해석된다”-(Herskovits, 1948) 43쪽
 
3. 문화 인식론의 변천 
 
제2장 문화심리학의 기원
1. 인류학적 전통에서의 문화심리학 
2. 심리학적 전통에서의 문화심리학 
3. 문화와 심리에 대한 제3의 접근: 토착심리학 
4. 통합적 문화심리학의 모색 
 
제3장 문화심리학의 연구 방법론 
1. 비교문화심리학 
2. 협의의 문화심리학 
3. 토착심리학 
4. 문화심리 연구 방법의 선택: 목적 우선주의 
 
제2부 문화와 인간
 
제4장 문화와 성격 
1. 문화의 차원 
2. 문화 유형 
권위에의 복종 실험이 나라별, 문화별로 차이가 있구나. 
“Milgram(1974)의 유명한 실험에서 검증되었듯이, 미국에서는 약 65%의 사람이 아주 불쾌한 교시를 따라 권위에의 복종을 나타냈지만, 호주에서는 40%밖에 동조하지 않았다(Kilham & Mann, 1974)” - 140쪽
우리나라의 실험에서도 다른 결과가 나올 것 같다. 
지금은 이런 실험을 못하지만 만약에 교실에서 실험한다면 내가 지시자일 때와 다른 이가 지시자일 때가 다를 것이고, 우리 반이 대상자일 때와 다른 반이 대상자일 때도 다를 것이다. 표본 추출의 양을 늘린다하더라도 그 표본 마다 다를 것이라 추측해본다. 
객관적이라 생각한 심리실험도 전적으로 믿을 순 없다. 그렇다면 무엇을 어디까지 믿어야하나? 
3. 문화적 자기관 
 
제5장 문화와 인지 
1. 주의 배분 
2. 지식의 체계화와 세계관 
3. 인과 인식과 추론 
4. 도덕적 추론 
 
제6장 문화와 정서 
1. 정서이론의 변화 
2. 정서 보편성에 관한 논쟁 
3. 정서 경험을 조절하는 문화 분류 
4. 한국 문화와 정서표현 
제7장 문화와 사회 
1. 대인지각 
2. 대인관계 
3. 집단과 개인 
 
 
제8장 문화와 정신건강 
1. 행 복 
2. 성격적 강점 
3. 이상심리 
 
제9장 이문화 체험과 다문화 생활 
1. 이문화 접촉 
 
2. 문화적 정체성 
 
3. 이문화 간 교류 
4.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외국인에 대한 태도 
 
제3부 한국인의 심리
 
제10장 한국인의 마음 
1. 한국인의 마음 
2. 한국인 마음의 질 
3. 우리 관계 안에서의 마음 경험 
4. 마음의 교류 양식: 심정 
 
제11장 한국인의 자기관 
1. 한국인의 자기 
2. 한국인의 자기관 
3. 한국인의 자기가치감 
4. 자기관 형성의 배경 
 
제12장 한국인의 사회심리 
1. 우리성 
2. 사회적 기술로서의 체면 
3. 마음읽기의 기술: 눈치 
 
4. 한국인의 사회적 행동 
 
제13장 한국인의 마음건강
1. 한국 문화와 마음건강 
2. 한과 신명 
3. 한국 문화와 마음의 병 
4. 한국 문화와 행복 
 
제14장 유교심리학 
1. 유교와 한국의 심리학 
2. 유교 경전에 근거를 둔 접근 
3. 사회적 표상에 근거를 둔 접근 
4. 유교 가치관 연구